김기라_KIM Kira

김기라_김기라✕차선수✕아날로그소년(협업), 너영나영_산지천, 4K 2채널, 3분, 2021

Kira Kim_Kira Kim✕CHASUNSOO✕Analogsonyeon, Neoyoung and Nayoung_ Sanjicheon Jeju,
4K 2ch video, installation 3min, 00sec, view at Sanjicheon Gallery, Jeju, 2021

김기라
멈춤_비비디바비디부_내일은 검정, 양모수제카펫, 200✕400cm, 2022

Kira KIM
Pause_Bibbidi-Bobbidi-Boo_Black Tomorrow, Wool Hand made carpet, 200✕400cm, 2022

김기라는(1974년 충남 대천 출생 및 현재 서울거주) 경원대학교 회화 학부과정과 조각과 석사를 졸업하고 런던 골드스미스 컬리지에서 순수예술 석사와 언어와 문화연구이론 포스트 드플로마 과정를 마쳤다. < 신기 루 궁전 > 2006 영국 카운실 킹스린 아트센터 개인전, < 선전공화국> 2008 루프갤러리 개인전 < SUPER-MEGA-FACTORY > 2009 국제갤러리 개인전 <공동선_모든 산에 오르라> 두산 아트센터 한국 개인전, < 마지막 잎새 > 패리지갤러리 서울 < 올해의 작가 > 2015 국립현대미술관, < 큐빅이글루 > ACC 국립광주아시아문화의 전당 2016 < X사랑 > 보안1942 전관 2019 등 18회 개인전들과 국제 및 국내 기획전에 참여하고 있다.

KIM Kira received his BFA and MFA at the Kyoungwon University of the fine Art and sculpture, and MA in fine art at Goldsmith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Kim’s work has been shown at Kunsthalle Düsseldorf 2013 (GER), 2009 King’s Lynn Arts Centre (UK),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Korea), Samsung Leeum Museum(Korea), Liverpool Biennial 2010(UK), Minsheng Art Museum, SantralIstanbul, Istanbul(Turkey),The Biennial of Graphic Arts (Slovenia), Prague Biennale, Karlin Hall (Czech Republic), Fondazione Sandretto Re Rebaudengo (Italy), Nanjing Museum (China), and etc.

김기라(1974-)는 영상 이미지 작품을 통해 예술과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작가이다. 작가는 정치적, 역사적 이슈를 다루는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우리 사회에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자본주의 사회 작동의 메커니즘을 응시하는 작가는 한국 사회의 특이한 현상을 소비와 착취, 열광과 냉소의 무한궤도로 파악한다. 자본주의의 장인(匠人)으로서 작가의 작업은 스펙터클 하지만 공허하고, 소박하지만 강렬하게 한국 현대사회의 일상을 드러낸다.

He actively express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rt and artists through video and photography. He consistently intends to deliver messages that deal with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roversy throughout his works. He examines the operational mechanism of a capitalist society and thus comprehends the eccentric phenomenon of the Korean society with consumerism and exploitation, excitement and sarcasm. As an artisan of capitalism, Kim Kira’s works are a great spectacle but somewhat empty, revealing the everyday of Korean society in an austere but intense way.